• UPDATE : 2025.3.29 토 20:10
> 뉴스 > 정부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9천790억원 투입과기정통부, 제2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 개최
김태우 기자  |  press@a-news.co.kr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승인 : 2025년 03월 25일 (화) 18:22:13
수정 : 2025년 03월 25일 (화) 18:23:59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정부가 이공계 대학원생에 매달 일정 금액 지원을 보장하는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사업에 9년간 9천790억원을 투입한다.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5년 제2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를 열어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대상으로 지정된 '이공계 대학원 학생인건비 지원'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결과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지원되는 학생인건비, 연구장학금 등을 통합 관리하는 연구개발(R&D) 지원제도로 올해부터 2033년까지 9년간 예산을 투입한다.

사업 참여 학교의 연구활동 중인 이공계 대학원생은 석사과정생의 경우 최소 80만원, 박사과정생은 최소 110만원을 보장받을 수 있다.

과기정통부는 총사업비의 경우 추후 참여학교 규모에 따라 적정성 재검토 등을 통해 변동 가능하다고 밝혔다. 올해는 29개 대학이 참가 의사를 밝힌 상황이다.

이날 총괄위는 마찬가지로 지난해 예타면제 대상으로 지정된 질병관리청의 '팬데믹 대비 mRNA 백신개발 지원사업'의 경우 올해부터 2028년까지 4년간 5천52억원을 투입하는 것을 확정했다.

이 사업은 미래 팬데믹 대응을 위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비임상 단계부터 품목허가까지 지원하는 것으로, 이번 검토 확정을 통해 mRNA 백신 비임상 4개 과제 지원이 시작된다.

질병청은 코로나19 mRNA 백신 비임상 시험 연구개발 등의 사업준비 절차는 작년 10월부터 진행해 왔다며, 앞으로 관련 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한 뒤 4월까지 협약 체결과 연구 착수 등을 조속히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후 임상 1~3상 단계를 거쳐 2028년 품목허가를 받는 게 목표로, 이를 통해 신속 개발 플랫폼을 확보하면 미래 팬데믹 위기 시 최대 200일 내 초고속 백신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질병청은 전망했다.

류광준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지난해 국가적 시급성이 높은 사업들을 선별하여 예타 면제하고, 오늘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 결과까지 마무리함으로써 최소 1년은 사업 착수를 앞당길 수 있었다"며 "기존 예타 제도의 틀 내에서도 R&D 유연성과 신속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궁극적으로 R&D 예타 폐지 등 선도형 R&D 추진을 위한 시스템 개편을 차질 없이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김태우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폰트키우기 폰트줄이기 프린트하기 메일보내기 신고하기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요즘 네이버 구글 msn 뒤로가기 위로가기
이 기사에 대한 댓글 이야기 (1)
자동등록방지용 코드를 입력하세요!   
확인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욕설등 인신공격성 글은 삭제 합니다. [운영원칙]
광이 종우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재육성에 있읍니다. 대한민국은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인데 과학기술이 도태되면 국가는 망합니다 엔지니어를 육성 장려하여 과학기술 강국을 만듭시다
(2025-03-25 20:01:01)
이 기사에 대한 댓글 이야기 (1)
 1 
오늘의 주요뉴스
신문사소개기사제보광고문의개인정보취급방침청소년보호정책이메일무단수집거부
서울 성동구 아차산로7길 15-1 3층 3201호  |  대표전화 : 02-466-5205
발행인·편집인 : 윤동승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동승  |  등록번호 : 서울 아03281 | 등록일 : 2014. 8. 6 | SINCE 2013
Copyright © A-NEWS. All rights reserved.